<Hist>
[2023-01-20] 생성
<Note>
이번 시간에는, L4 Transport(전송 계층)에 대해 설명하려고 합니다.
지난 번에 OSI 7 Layer에 대해서 배웠는데, L5 / L6 / L7의 경우, 그 역할과 자세한 사항을 나누기 애매하여, 추후에 다루기로 하였습니다. 이번 시간부터 L4에 이어 L1까지의 계층에 대해 간단하게 게재하려 합니다.
일상생활의 예를 들어서, 만약, 우리가 스마트폰으로 친구들과 이야기를 하고싶다면, 상대방과 통신을 하기 위해 어떤 방식(통화, 문자, 카톡, 라인 등)으로 통신을 할지를 선택을 해야합니다.
Network 통신간 L4에서 처리되는 절차는 위 예시에서, 우리가 어떠한 방식으로 정보를 전달해야하는지 전송 방식을 선택하는 과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먼저, L4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해드리겠습니다.
1) 여러 System에서 실행되는 Process간의 Data 전달을 담당.
최종 목적지까지의 신뢰성 있는 Data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지원
"Port"라는 개념을 통해 서비스를 식별하며, 해당 Port에 맞게 상위계층 프로그램으로 전달
전송측 : 상위 계층으로부터 발생된 Data를 Packet이라는 단위로 나누어 책임지고 전송
수신측 : 수신 Packet을 재조립, 검증하는 역할.
오류가 있거나, 도착해야할 Data가 도착하지 않은 경우, L3 계층을 통해 재전송을 요청
2) TCP / UDP를 사용하여 Data를 전달.
- TCP : 연결 지향(3-Way-HandShake), 신뢰성, 단편화(Segmentation), 흐름제어(Flow-Control)
- UDP : 비 연결 지향, 비 신뢰성
3) 정보
Network 상에서 주로 사용되는 통신 방식은 TCP와 UDP이지만, 다른 통신 Protocol이 Port
Number로서 지정되어있습니다.
IP가 컴퓨터, 즉 사용자가 조작하는 기기를 찾는 번호라면, Port는 그 컴퓨터가 실행하고 있는
Process를 찾는 번호입니다.
- Port Number : 16 Bit로 표현, 2^16개만큼 지정됨 (0 - 65,536)
(Service Identifier) 국제 인터넷 주소 관리 기구(ICANN)는 포트 번호를 3개의 구간으로 분류
Well Known Port (잘 알려진 포트)
|
0 - 1,023
|
등록 포트 중 가장 많이 사용하는 포트
ICANN에서 통제되는 번호 |
Registered Port (등록 포트)
|
1,024 - 49,151
|
특정 기업, 조직 등에서 중복 방지를 위해 등록하여 사용하는 포트
ICANN에서 통제를 받지는 않음. |
Dynamic Port (동적 또는 임시 포트)
|
49,152 - 65,535
|
어떠한 Process를 사용하더라도 사용 가능한 Port.
|
- 정보출처
www.iana.org / http://ko.wikipedia.org
Internet Assigned Numbers Authority
Management of the DNS Root Zone (assignments of ccTLDs and gTLDs) along with other functions such as the .int and .arpa zones.
www.iana.org
세부적인 Port 번호를 여러 곳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위 Link - IANA : 인터넷 할당 번호 관리 기관에서 정의된 Port 번호 / 아래 Link - Wikipedia)
4) 데이터 단위 (PDU, Protocol Data Unit)
주로 사용하는 TCP와 UDP가 취급하는 Data의 단위는 다음과 같이 정의됩니다.
TCP : Segment, TCP Header + Data
UDP : Datagram, UDP Header + Data
5) Device
L4 Switch (주로 서버의 부하 분산을 위해 사용됨)
이해하시기 꽤 어렵게 용어들이 많이 나열되어있는데요
L4의 가장 중요한 요점은 프로그램 대 프로그램으로 Data를 전달하는 개념의 계층이라는 것입니다.
OSI 7 Layer 부분에서 다루었듯, Model 상에서의 Data 전달 절차에 의하여,
"각종 Program으로부터 만들어진 Data를 / 해당 Program에서 사용하는 통신 방식에 따라 /
전송할 수 있는 단위와 서비스로 나누어 / L3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상대방으로부터 걸어온 전화를 Call Application(통화 어플리케이션)으로 연결하고,
상대방의 카카오톡 메시지를 KakaoTalk Appcation으로 연결하는 역할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여기까지, 간단하게 L4에 대한 설명을 다루었는데요!
어렵지 않은 부분임에도 제 설명이 부족하여 다소 어렵게 표현된 것 같습니다.
하지만, L4 "전송"과 L3 "네트워크"계층을 경계로, Software적인 부분과 HardWare적인 부분으로 나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 점을 참고하시어 원리를 이해할 수 있다면, Network에서 주로 다뤄지는 부분인 L4와 L3부분을 쉽게 구분할 수 있을 것입니다.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work_07_L3 Network (네트워크) (0) | 2023.01.20 |
---|---|
Network_05_Packet Tracer_Cable Type (0) | 2023.01.20 |
Network_04_Cisco Packet Tracer 실습 개요 (0) | 2023.01.20 |
Network_03_VLSM 예제 - IP Subnetting (0) | 2023.01.19 |
Network_02_OSI 7 Layer 개요 (0) | 2023.01.18 |